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인의 밥상 장수 곱돌 주문 박동식

by 레몬망고홍차 2025. 8. 20.

 

2025년 8월 21일 목요일 오후 7시 40분 KBS'한국인의 밥상'에서는 무진장의 참맛을 방송했습니다. 장수군의 곱돌인 돌솥은 음식의 맛을 더하고 건강에도 이로운데요. 45년 동안 장수군에서 곱돌 그릇을 만드는 박동식씨를 만나봅니다. 아래에서 한국인의 밥상 장수 곱돌 박동식씨의 '장수곱돌석기공장'의 곱돌을 주문해 보세요.

한국인의밥상-장수-곱돌-박동식-돌솥-무진장의참맛
한국인의밥상-장수-곱돌-박동식-돌솥-무진장의참맛

장수곱돌 박동식

 

박동식장수곱돌 주문

맛을 더하는 ‘곱돌’로 요리하다 –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번암면

 

한국인의밥상-장수-곱돌-박동식-돌솥-무진장의참맛
한국인의밥상-장수-곱돌-박동식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돌솥은 임금이 신하에게 하사했던 귀한 식기였다.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은 그 귀한 돌솥을 만드는 재료인 ‘곱돌(각섬석)’의 고장이다.

곱돌은 수천 만 년 동안 고온과 압력을 견디며 만들어진 돌인데, 옛 선조들은 뼈가 뿌려지면 그것을 갈아 약재로 사용하기도 했다.

 

 

 

한국인의밥상-장수-곱돌-박동식-돌솥
한국인의밥상-장수-곱돌-박동식-돌솥-

 

45년 동안 장수군에서 곱돌 그릇을 만드는 박동식(76세) 씨.

그의 손길이 닿으면 투박한 돌이 곱고 단단한 그릇으로 다시 태어난다.

 

곱돌은 평범한 음식도 특별한 맛을 내게 하는데.

곱돌엔 공기층이 있어 음식의 풍미를 더하는 것이다.

곱돌로 만들 오늘의 요리는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삼겹살과 영양밥! 곱돌판 위에서 장수의 특산품인 꺼먹돼지 삼겹살을 올려 구우면 기름이 빠져 더 쫄깃해진다.

 

한국인의밥상-장수-곱돌-박동식
돌솥으로맛있는밥짓기

그 유혹을 뿌리칠 수 없다는데, 이번 방송에서는 그 마성의 맛에 빠진 최수종 배우의 먹방을 만나게 된다.

아래에서 한국인의 밥상 장수군 곱돌 장인 박동식의 곱돌을 주문해 보세요.

 

 

 

:: 장수곱돌 ::

장수곱돌 유일하게 생산 및 주문업체

jscopdol.co.kr

 

주소 : 전북 장수군 번암면 하교길 12

전화번호 : 063-353-5400

연락처 : 010-3652-3392

 

“예전부터 장수군 최고의 특산품은 곱돌 그릇이었습니다.

장수를 방문하는 귀한 손님에겐 반드시 선물로 주어지던 곱돌그릇이 1980년대 이후 값싼 수입산에 밀려 간신히 명맥만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런 위축된 장수 곱돌의 부흥을 위해 힘을 보태고 싶습니다.”

 

한국인의밥상-장수--특산물-곱돌
장수-곱돌-박동식-돌솥-무진장의참맛

 

오롯이 곱돌 그릇만 생각하며 외길 인생을 살아온 장수곱돌석기 박동식(71) 대표의 일성이다.

장수군은 이런 박 대표의 공로를 인정해 제38회 장수군민의 장 산업공익장에 선정했다.

이어 제53회 장수군민의 날 시상식을 가졌다.

 

박동식 대표의 집안은 번암면 교동리에서 조상 대대로 터를 잡아 살아온 터줏대감이다.

어려서부터 동네 어른들이 마을 뒷산에서 부드럽고 무거운 돌을 캐다 정과 망치로 모양을 만들고 속을 파내 향로와 절구, 그릇을 만들어 밥을 짓고 고기를 굽는 걸 봐오며 자랐다.

이런 성장 배경이 자연스럽게 곱돌을 생업으로 삼게 되는 계기가 됐다.

 

한국인의밥상-장수-곱돌-박동식-뚝배기
장수-곱돌-박동식-돌솥-무진장의참맛
장수-곱돌-박동식-돌솥

 

그는 당시 인허가 없이 가내수공업으로 생산하던 돌그릇을 1983년 고향 마을에 기계화된 공장을 설립 대량 생산체계를 갖추고 곱돌솥과 불고기판 등을 특산화해 했다.

이어 공장에서 가까운 국도변에 장수 곱돌 특산품 전시장을 조성해 장수 곱돌 그릇이 대한민국 명품의 반열에 오르는데 일조했다.

 

또한 박 대표는 지역인재 육성을 위해 생활이 어려운 학생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새마을운동 장수군지회장 등을 역임하면서 더불어 사는 지역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며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했다.

 

한국인의밥상-장수-곱돌
-장수-곱돌-박동식

 

박동식 대표의 곱돌그릇에 대한 애정은 남다르다.

그는 “역사적으로 조선왕조실록 15권에 임금이 후원에서 활 쏘는 것을 구경하고 돌솥을 각각 1개씩 하사했다는 기록이 있고, 조선 숙종 때 금부도지사 최재민이 누명을 쓰고 장수읍 대성리 산골로 귀양살이 와서 넓은 돌에 산짐승을 구워 먹고 그 맛이 너무 좋아 후에 누명을 벗고 집으로 돌아간 뒤 그 맛을 잊지 못해 다시 찾아오니 그것이 장수 곱돌이고 이를 임금에게 진상하게 되었다고 전해져 오고 있다”면서 “이렇듯 장수곱돌은 역사와 조상들의 경험치가 보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장수-곱돌-대표상품
장수-곱돌-박동식-돌솥

 

또한 “현대 과학을 통해 장수곱돌(각섬석)에 열을 가하면 원적외선 방출량과 미네랄 함유가 다른 석재에 비해 월등하며 인체에 해로운 중금속 등의 유해성 물질이 거의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인체에 득이 되는 광물이라는 연구기관의 분석결과가 나와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장수곱돌이 국내외 시장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나 정작 원산지인 장수군에서는 산업이 위축되고 있어 답답한 심정이라며 새로운 사업을 발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옛것을 보존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것도 중요하다며 지금이 장수군 곱돌산업 복원을 위해 행정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장수-곱돌-박동식
장수-곱돌-박동식-돌솥-무진장의참맛
장수곱돌

 

높은 산맥이 줄을 이어 펼쳐진 ‘전라도의 지붕’이라 불리는 지역이 있다.

흔히 ‘무진장’으로 불리는 무주, 진안, 장수가 바로 그곳이다. 해발 400미터 이상의 고원지대에 자리한 이 세 지역은 공기와 물이 맑고, 일교차가 커서 식재료의 맛과 영양이 뛰어난데.

무진장의 사람들은 이 귀한 재료들을 밥상에 담아 깊고 정갈한 맛을 빚는다.

 

더욱이 이곳은 산세가 깊어서일까?

시간마저 더디게 흐르는 듯한데.

무주의 어느 마을에선 조선시대의 불꽃놀이인 ‘낙화놀이’가 지금도 이어지고, 장수에는 임금이 신하에게 하사했던 ‘곱돌’의 맥을 잇는 장인도 건재하다.

이번 <한국인의 밥상>은 퍼도 퍼도 마르지 않는 창고같이 풍부한 먹거리와 시간을 보관한 무진장을 소개한다.

아래에서 한국인의 밥상 장수군 곱돌 장인 박동식의 곱돌을 주문해 보세요.

 

 

 

:: 장수곱돌 ::

장수곱돌 유일하게 생산 및 주문업체

jscopdol.co.kr

 

 

 

8월 18일 생활의 달인 중화요리 달인 양수평 셰프 중국집 예약->

 

생활의달인 중화요리 달인 양수평 부산 아미산

2025년 8울 18일 월요일 오후 9시 SBS'생활의 달인'에서는 부산 중화요리의 달인 양수평 셰프의 중국집을 방송했습니다. 부산 해운대의 '아미산'중국집의 시그니처 메뉴는 해물 누룽지탕인데요. 아

2.violet097.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