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5일 월요일 오전 7시 50분 KBS'인간극장' 데레사의 꽃밭을 방송했습니다. 영천에서 꽃농장을 운영하는 정데레사씨를 만났는데요. 팔순 노모와 늦깍이 꽃 농부의 일상을 취재합니다.
데레사의 꽃밭
영천 꽃농장 정데레사의 꽃밭에서 팔순 노모와의 삶
방송일 : 2025년 9월 15일(월) ~ 9월 19일(금) /
오전 7:50~8:25
방송매체 : KBS1-TV
보도자료 문의 : 이아영 취재작가 (02-782-5555)
경상북도 영천. 어떻게 이런 곳을 찾아 집을 지었을까 싶을 만큼 깊숙한 산골에 오두막처럼 작은 집이 있다. 1년 여전, 이곳에 터를 잡고 정착한 이들은 정데레사(63) 씨와 그녀의 어머니 김정순(86) 씨.
아무 연고도 없던 이곳에 집을 지은 데레사 씨는 20여 년간 미국에서 살다가 5년 전 한국으로 돌아왔다. 짧았던 결혼생활을 뒤로하고, 겨우 젖먹이를 면한 두 아들과 함께 미국 이민 길에 올랐던 데레사 씨.
홀로 생계를 책임져야 했던 이민 생활은 혹독했지만, 사랑하는 두 아들이 있어 견딜 수 있었다. 최선을 다해 아이들을 키워내고 독립을 하자 데레사 씬 한국에 홀로 계신 어머니가 생각났다. 남은 삶은 어머니와 함께해야겠다는 생각에 역이민을 선택했다.
하지만 오랜 시간 멀리서 각자의 삶을 살았던 탓일까. 서로에게 맞춰 가며 일상을 함께 하는 것은 쉽지 않았고 한국에 돌아와 시작한 카페도 잘 안돼 고전했다는 데레사 씨. 그러다 3년 전, 충격적인 소식을 듣게 됐다. 미국에 있는 큰아들이 갑작스런 사고로 세상을 떠났다는 것. 데레사 씨의 삶은 무너졌다.
끝없는 절망과 우울 속에서 지옥 같은 시간을 보냈고 사람들을 피해 영천의 깊숙한 산골로 들어왔다. 돌만 가득하던 산을 깎고 다져서 집과 비닐하우스를 짓고 꽃 농사를 지으며 조금씩 마음의 안식을 찾아가고 있다. 그런 데레사 씨의 곁에서 어머닌 묵묵한 일상으로 자식 잃은 슬픔을 온몸으로 감내하는 딸을 지키고 있다.
비바람 속에서도 꽃은 피듯 밀려오는 시련과 고통 속에서도 꿋꿋하게 일어서는 여자, 데레사 씨의 인생이 담긴 꽃밭으로 찾아가 본다.
# 데레사가 돌아왔다
정데레사(63) 씨의 아침은 분주하기 짝이 없다. 고양이 두 마리는 물론이요, 닭, 개, 염소, 그리고 당나귀까지 동물 식구들 아침밥을 챙기는 것만도 하세월이다. 한국에 돌아오기 전 꿈꿨던 로망을 실현하며 어머니 김정순(86)과 함께 경북 영천 산골에 살고 있는 데레사 씬 5년 전까지만 해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살았더랬다.
둘째가 돌을 앞두고 있던 무렵, 짧았던 결혼생활을 뒤로 하고 연년생 두 아들을 데리고 이민 길에 올랐던 데레사 씨. 삶의 새로운 돌파구를 찾고자 떠났던 이민 생활은 혹독했다. 홀로 생계를 책임지며 두 아들을 키우기 위해서 돈을 벌 수 있는 일이라면 무슨 일이든 해야 했다. 그렇게 갖은 고생을 하며 키워낸 아이들이 독립을 하고 데레사 씬 인생 후반전을 어떻게 의미 있게 살지 고민하게 됐다.
자연스레 한국에 홀로 계신 어머니 생각이 났고 돌아가서 어머니를 모시자는 생각에 역이민을 선택했다. 어머니 역시 젊은 나이에 남편과 헤어지고 외동딸 데레사 씨마저 어릴 적에 아빠에게 보내 평생을 혼자 살아오셨던 상황. 일찍 어머니 품을 떠났던 데레사 씨는 흰머리가 성성해진 나이에 다시 어머니 곁으로 돌아왔다.
# 가슴에 묻은 아들
어머니를 모시고 처음엔 왜관에 정착했던 데레사 씨. 예쁜 전원주택을 짓고 작은 카페도 열었지만, 생각처럼 잘되지 않았다. 고군분투하며 한국 생활에 적응해 가고 있던 와중에 미국에서 날벼락 같은 소식이 찾아왔다.
26살 젊은 나이에 큰아들이 갑작스런 사고로 세상을 떠났던 것. 데레사 씨가 한국에 돌아온 지 2년 만의 일이었다. 아이들을 두고 온 것이 잘못된 선택인가 한없이 자책했고, 삶의 의미가 사라지며 지옥 같은 나날이 시작됐다. 자식 앞세운 마당에 밥 먹고 웃는 것도 죄스러워 사람들을 피해 숨고만 싶었다.
더 깊은 산골로 들어가야겠다는 생각에 카페도 집도 정리하고 1년 여전 영천으로 들어왔고, 생전 농사라곤 지어본 적 없지만 작은 하우스를 지어 꽃 농사를 시작했다. 바쁘게 몸을 놀려 꽃을 키우고 동물들을 키우다 보니 절망스럽던 마음이 차츰 잦아들고 조금씩 살아갈 힘도 얻게 됐다. 여전히 마음은 아프지만 이젠 아들을 가슴에 묻고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워가고 있다.
# 늦깎이 꽃 농부와 팔순 노모의 산골 일기
한국에 돌아와 다시 어머니와 한집에 살게 된 데레사 씨. 오랜 시간의 강을 건너 어머니와 함께하는 일상은 녹록지 않았다. 떨어져 있던 시간이 너무 길다 보니 사사건건 부딪쳤다. 그래서 영천으로 삶터를 옮길 때 모녀는 ‘따로, 또 같이’ 사는 삶을 택했다. 한 울타리 안에 작은 집 두 채를 지어 각자의 공간에서 따로 살기로 한 것. 식사도 굳이 꼭 같이하려 애쓰지 않고 각자의 사정에 맞게 하고 있다.
이웃해서 따로 살다 보니 훨씬 재밌고 관계가 편안해졌다. 이제 1년이 조금 넘은 꽃 농사는 오롯이 데레사 씨의 몫. 아직 시행착오가 많지만, 일주일에 두 번씩 꾸준히 서울 꽃시장으로 출하하고 있다. 이웃들과도 많이 친해져 짬이 나면 함께 모여 막걸리도 마시고 어려운 일이 생기면 도움도 받는 등 따뜻한 한국의 정을 느끼며 살아가는 중이다.
더위가 물러가는 여름의 끝자락, 척박한 땅에서도 아름다운 꽃을 피워내고 있는 데레사 씨의 꽃밭으로 들어가 본다.
1부 줄거리
영천, 깊숙한 산골에 자리한 집. 다양한 식구들을 챙기느라 분주한 아침을 보내는 데레사 씨.
데레사 씬 미국에서 돌아와 어머니와 따로, 또 같이 살고 있다. 서로 떨어져 있는 시간이 길다 보니 각자의 스타일에 맞춰 살다가도 함께 있으니 오히려 편하다고 한다.
데레사 씨가 1년 전 이곳 산골로 들어와 시작했다는 꽃 농사. 직접 키우고 수확해 출하까지 하고 있다. 꼭두새벽에 직접 배송을 나서는데... 새벽길이 너무 어둡다!
인간극장 모로코 여자와 결혼한 암환자 정수씨 그 후 ->
2025.09.14 - 백반기행 창원 횟집 남흥횟집 최은경
백반기행 창원 횟집 남흥횟집 최은경
2025년 9월 14일 일요일 오후 7시 50분 TV조선'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에서는 최은경 아나운서와 창원 현지인 횟집을 방송했습니다. 창원 대풍횟집골목 안에 있는 '남흥횟집'을 방문했는데요. 아래
2.violet097.com
09.12 동네한바퀴 안성 쥐눈이콩 청국장 두리봉시골청국장
동네한바퀴 안성 쥐눈이콩 청국장 두리봉시골청국장
2025년 9월 13일 토요일 오후 7시 10분 KBS'동네한바퀴'에서는 경기도 안성시의 쥐눈이콩 청국장 식당을 방송했습니다. 한상연씨가 직접 농사지은 쥐눈이콩으로 만든 두리봉 청국장은 택배로도 구
2.violet097.com